일사병 열사병 차이 전해질음료 레시피로 온열질환 예방!
온열질환 예방에 좋은 수분 보충음료 레시피와 일사병 열사병 원인과 증상 대처법까지 정리
숨이 턱 막히고 머리가 멍해지면서 무념무상으로 마치 몸이 녹아내릴 것 같은 더위입니다. 지구 평년 기온 상승으로 무더위로 인한 온열증상은 여름철 일상적으로 조심해야 할 질환이 되었습니다.
온열증상은 무엇보다 수분섭취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수분 보충애 좋은 음료와 일사병 열사병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일사병 열사병 증상과 대처 차이
일사병(Heat Exhaustion)
1. 일사병 원인
일사병은 체온 조절 중추인 시상하부가 정상적으로 기능을 하는 상태이기는 하지만, 과도한 땀 배출로 체내 수분과 전해질이 고갈되며 발생하는 중등도 온열질환입니다.
고온 환경이 지속되면 장기의 심부체온을 낮추기 위해 열을 배출합니다. 가장 주요한 방법이 땀이 증발하면서 열을 끌고 나가는 것입니다. 때문에 열 배출이 많아지면 땀이 나게 되는데 이때 수분과 전해질이 같이 배출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수분이 줄면 혈장이 줄어 혈액이 끈적이는 점도가 높아집니다. 또한 세포의 전기 신호 전달에 쓰이는 전해질이 부족하여 열배출을 조절하는 자율신경계 등의 신호가 불안정해지게 됩니다.
고온이 지속되어 열이 낮춰지지 않으면 채액 손실과 혈액량 감소로 말초로 가는 혈류가 줄고 이로 인해 열 발산이 더욱 어려워집니다. 이로 인해 심부체온이 올라가게 되는데요.
2. 일사병 증상: 심부체온이 40도 미만까지 상승할 수 있으며 혈액 부족과 점도 상승, 세포의 전기 신호 불안정성으로 인해 저혈압, 빈맥, 어지럼증 증상과 더불어 근육 경련(열경련), 두통, 메스꺼움, 허약감이 동반될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또한 의식은 비교적 유지되나 집중력 저하나 멍한 상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일사병 대처법: 즉시 서늘한 곳으로 옮기고, 옷을 느슨하게 하고 수분과 전해질(보리차, 소금 한 꼬집 넣은 물, 이온 음료 등)을 먹는 것이 중요한데요.
그러나 30분~1시간 이내 회복되지 않고, 구토하거나 의식이 흐려지는 경우에는 기도가 막힐 수 있으므로 직접 마시게 해서는 안 됩니다.
열이 낮춰지지 않아 열사병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119를 불러 의료기관에서 정맥 수액 보충이 필요합니다.
열사병(Heat Stroke)
1. 열사병 원인: 열사병은 심부체온이 40도가 넘는 고온으로 체온 조절 기능이 붕괴된 상태의 중증 온열증상입니다.
외부 고온은 지속되는데 체내 열이 못 빠져나가 축적되면서 중심 체온이 40℃ 이상으로 치솟으면 특히 고온에 취약한 단백질 변성과 손상이 발생하는데요. 그중의 대표적인 기관이 뇌로써 땀 배출 기전이 망가져 더 이상 발한이 일어나지 않거나 미약해져 체온이 폭발적으로 상승하게 됩니다.
시상하부의 체온 조절 중추 기능이 마비돼 열충격 단백(heat shock proteins)과 사이토카인 폭풍이 유도되며, 전신 염증 반응과 함께 장기 기능이 급속히 손상되면서 생명 위독 상태가 유발되게 됩니다.
2. 열사병 증상: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고열(40℃ 이상)과 혼돈, 발작, 실신, 심한 경우 혼수 상태에 빠지기도 합니다.
땀이 안 나(일부는 땀이 나기도 함) 피부는 건조한데 뜨거워지며 심박수 증가로 호흡이 빨라집니다. 혈압이 낮아져 혈류 저류로 간과 신장 기능 이상과 혈액응고장애까지 발생하여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열사병 대처법: 즉시 119를 부르고, 그동안 환자를 서늘한 곳으로 옮긴 뒤 옷을 벗기고 물이나 얼음, 젖은 수건 등을 이용해 적극적으로 체온을 낮추는 냉각처치가 필요합니다.
얼음팩은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 같은 대혈관 부위에 대는 것이 효과적이며, 가능하면 냉수에 담그거나 찬물 샤워도 고려할 수 있으나 기도가 막힐 수 있으므로 의식 저하 상태에서는 특히 기도 확보가 중요합니다. 정신이 혼미할 때는 물 등을 마시게 하면 안 되고, 구토 등을 할 수 있으므로 고개를 옆으로 돌려줘야 합니다.
온열 증상 예방을 위한 수분 보충 방법
고온의 야외활동 중 땀과 함께 수분과 나트륨, 칼륨 같은 전해질도 함께 손실됩니다. 이럴 때 물만 마시면 체내 전해질 농도가 희석되면서 오히려 전해질 불균형(특히 저나트륨혈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전해질 보충이 물만큼이나 중요합니다.
수분 전해질 보충
갈증을 느낄 때는 이미 체내 수분이 1~2% 손실된 상태이므로 고온 환경에서 활동 시에는 목이 안 말라도 정기적으로 20~30분 간격으로 150~250ml 수분을 조금씩 보충.
작업이나 운동, 활동 1~2시간 전에 500mL 정도 물을 미리 섭취하면 탈수를 예방하는 데 도움.
땀을 많이 흘렸다면 이온음료나 염분 포함 수분을 마셔주고, 소변 색이 짙다면 수분이 더 필요한 상태임.
1시간 이상 야외작업, 장시간 외출과 나들이, 휴가 등을 갈 때는 이온음료나 자가 전해질 보충음료를 가져가 수시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가 전해질 보충 음료 레시피
물 1리터.
소금 1g (작은 한꼬집).
설탕 10~20g (1스푼~2스푼) 또는 꿀 1스푼을 가감하여 조절.
레몬즙 1~2스푼 (맛과 칼륨 보충용)
분량을 전부 섞어 물통에 담아 야외 활동시 수시로 마셔주면 탈수에 의한 온열증상 예방에 좋습니다. 이 조합은 수분 + 나트륨 + 포도당 흡수 촉진으로 장세포의 흡수가 빨라 탈수 회복에도 효과적입니다.
시판 이온음료는 당분은 높고 나트륨 함량이 낮은 경우가 많으므로, 오랜 시간 대량으로 마실 땐 위장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물 : 이온음료 = 2 : 1로 희석하여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온열증상 예방을 위한 주의사항
이뇨작용이 있는 카페인 음료(커피, 탄산 등)는 피하기.
체중의 2%, 예를 들어 70kg에서 2프로는 1.4kg 이상 수분이 빠지는 것으로 어지럼, 근육경련, 피로감 증가되므로 갈증이 생기기 전 미리 수분 보충.
땀을 많이 흘리고 소변량은 적으면서 색이 짙다면 탈수 경고 신호이므로 즉시 전해질 음료 보충.
마무리
더워도 너무 덥습니다. 특히 노년기에는 체온조절 중추의 반응성이 낮아지고 갈증 감각도 둔해져 수분 보충 타이밍을 잘 못 맞출 수 있습니다. 때문에 시골에 농삿일로 다니실 때는 필히 땡볕은 피하고, 보리차 등을 수시로 마셔야 합니다. 또한 휴가철 야외 나들이, 야외작업 등을 할 때에도 역시 수시로 수분 보충과 냉방으로 체온을 내려 온열증상 예방에 각별히 신경써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