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문근융해증 증상 원인 치료 회복 음식까지

횡문근융해증 증상 원인 치료 예방법과 음식

횡문근융해증이란? 증상과 원인, 치료와 예방, 좋은 음식까지 정리

횡문근융해증은 뼈에 붙은 골격근육의 갑작스러운 손상으로 세포 안의 물질들이 혈액 내로 흘러나와 발생하는 증상듵을 총칭하는 질환명입니다. 횡문근융해증이 발생하는 횡문근은 현미경으로 보면 가로 줄무늬가 보이는 근육으로, 머리부터 발끝까지 뼈에 붙어 있는 골격근 중 의식적으로 조절 가능한 수의근만을 지칭합니다. 즉, 횡문근융해증橫紋筋溶解症은 가로무늬로 배열된 골격근 중 수의근이 녹아 분해되어 나타나는 여러 증상을 뜻하는데요. 

평소 근육세포 안에는 에너지를 만들기 위한 여러 성분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산소 공급에 쓰이는 미오글로빈부터 세포의 움직임을 조절하기 위해 전기적 활동전위를 만드는 칼륨과 칼슘 등의 다양한 전해질 물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근세포의 에너지인 ATP 생성 중 산소가 부족할 때를 대비해 에너지를 대체 공급할 젖산 등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외상이나 과격한 운동, 열사병, 약물, 발작 등으로 파열 또는 녹아 세포막이 무너지면 세포 속 성분들이 대량으로 혈액 속에 퍼지게 됩니다. 특히 미오글로빈이 혈액으로 흘러나오면 신장에서 다 걸러지지 못하고 소변으로 배출되는데, 이때 미오글로빈 붉은 색소가 섞여 소변이 갈색, 콜라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또한 손상된 근육세포 안의 칼륨과 인 같은 전해질이 대량으로 혈액 속에 유입되면서 세포 안팎의 전해질 균형과 혈중 전해질 농도가 동시에 무너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근육세포의 전기적 신호 전달이 이뤄지지 않아 수축 기능 상실로 힘이 급격하게 빠지거나 심장 박동이 불규칙해지는 등 전신에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혈액 성분을 여과해 재흡수하거나 노폐물을 걸러내는 신장 속 꼬불꼬불 미세 관 구조인 세뇨관에 미오글로빈과 노폐물 등이 쌓이면 소변 배출 경로가 막히면서 신장 기능이 급격히 떨어지게 됩니다. 또 미오글로빈에서 분리된 철 이온은 전자가 불안정하게 이동하며 활성산소 같은 유해 물질을 만들어내 산화로 신장 세포를 급격하게 손상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급성의 염증반응이 악화되어 급성 신부전 등의 전신에 걸쳐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횡문근융해증 증상

극심한 근육통 (Myalgia)

횡문근융해증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는 증상은 극심한 근육통입니다. 손상된 근육세포에서 칼륨, 젖산, 효소 등이 흘러나오면서 주변 조직에 염증 반응을 일으키고 신경을 자극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근육통과는 달리 훨씬 강하고 오래 지속되는 통증과 압통, 경련 등이 생기게 됩니다.


콜라색 소변 (Myoglobinuria)

두 번째로 잘 알려진 특징은 콜라색 소변입니다. 근육세포가 파괴되면서 나온 미오글로빈이 혈액을 통해 신장으로 이동하고, 그 일부가 소변으로 배출되면서 소변이 붉은색 또는 갈색을 띠게 됩니다. 현미경으로 보면 적혈구가 보이지 않는데도 소변 색이 변한다는 점이 혈뇨와 다른 특징입니다. 심한 경우 신장 세뇨관에 미오글로빈이 쌓여 급성 신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급성 근무력감 (Muscle weakness)

ATP 고갈과 칼륨 유출, 그리고 근육 섬유 구조가 파괴되면서 근육이 정상적으로 수축, 이완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급격한 힘빠짐이 발생합니다. 팔다리에 힘이 빠져 걷거나 팔을 들기 힘들고, 심한 경우에는 호흡근이 약해져 호흡 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부종 (Swelling)

세포 안에서 빠져나온 단백질과 이온이 삼투압을 변화시켜 주변 조직으로 물이 몰리기 때문에 손상 부위는 흔히 붓기와 부종을 동반합니다. 근육이 단단하게 붓고 통증이 심해집니다. 부종이 심할 경우 근육 안 압력이 지나치게 올라가면서 구획증후군으로 진행하기도 합니다.


발열 (Fever)

근육 손상에 따른 염증 반응으로 저열부터 고열까지 다양한 발열이 나타날 수 있으며 전신 쇠약감과 더불어 감염이 동반된 경우 체온이 더 크게 상승할 수 있습니다.


급성 신부전 (Acute Kidney Injury)

가장 심각한 합병증은 급성 신부전입니다. 혈액으로 방출된 미오글로빈이 신장의 세뇨관에 쌓여 통로를 막고, 미오글로빈 속 철 이온이 산화 반응을 일으켜 세포 손상을 가중시키면서 신장 기능이 떨어집니다. 신장이 손상되면서 환자는 구역감과 구토를 자주 호소합니다. 손상이 심해지면서 소변량이 줄어들고 혈중 노폐물이 쌓이며, 부종과 고혈압이 생기다가 세뇨관의 괴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해질 불균형

또 다른 중요한 증상은 전해질 불균형입니다. 근육세포 안의 칼륨이 혈액으로 대량 방출되면서 고칼륨혈증이 생기고, 이는 심장 부정맥이나 심정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인이 증가하면 혈액 속 칼슘과 결합해 저칼슘혈증을 일으키며, 그 결과 손발저림이나 근육 경련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저인산혈증과 고요산혈증도 함께 발생해 근육 피로와 신장 손상을 악화시킵니다.


혼수상태 (Coma)

심한 경우 환자는 의식 저하나 혼수에 빠질 수 있습니다. 고칼륨혈증으로 인한 심장 및 신경계 전도장애, 그리고 신부전으로 생기는 요독증이 신경세포 기능을 억제하기 때문에 결국 뇌 기능이 떨어져 의식을 잃게 되는 것입니다.

횡문근융해증 전문진료과: 응급의학과, 신장내과




횡문근융해증 원인

외상 및 압궤 손상

교통사고, 붕괴 사고 등에서 발생하는 압궤 손상(crush injury)은 대표적인 횡문근융해증 원인입니다. 강한 외력이 근육을 직접적으로 짓누르거나 파열시키면 세포막이 찢어지며 세포 내 성분이 혈액으로 흘러나옵니다. 외상이 장시간 지속될수록 혈류 공급이 차단되어 허혈성 괴사까지 겹치면서 근육 손상이 급속히 악화됩니다.


격렬한 운동 및 열 관련 원인

준비운동 부족 상태에서의 갑작스러운 고강도 훈련, 군사훈련이나 마라톤 같은 장시간 운동, 특히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탈수까지 동반되면 근육세포의 대사 요구량이 급격히 증가해 이를 충당하지 못하면서 세포 에너지가 고갈됩니다. 또한 40도 이상의 열사병은 체온 상승 자체가 단백질 변성과 세포막 손상을 일으켜 근섬유 파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수분 부족, 체온 상승, 근육 피로가 함께 작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발작 및 장시간 움직임 없는 자세

전신 간질발작이나 전기경련치료(ECT)처럼 반복적이고 격렬한 근수축이 생기면 근섬유가 에너지를 급격히 소모하면서 손상됩니다. 또한 의식소실이나 약물, 알코올 중독으로 바닥에 쓰러져 장시간 방치된 상태일 때 한 자세일 때도 근육이 압박과 허혈에 의해 파괴될 수 있습니다. 이를 부동에 의한 횡문근융해증이라고 부릅니다.


약물 및 독성 물질

스타틴(statins) 계열 약물은 고지혈증 치료제로 흔히 쓰이지만, 드물게 근육 독성을 일으켜 횡문근융해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CYP3A4 억제제(특정 항생제, 항진균제, 면역억제제)와 함께 복용할 때 위험이 커집니다. 이외에도 특정 약물, 알코올, 일부 항정신병약(신경이완제악성증후군), 마취제 관련 악성고열증후군도 주요한 원인일 수 있습니다.


대사 작용 이상, 내분비 이상

갑상선 기능저하증, 저인산혈증, 저칼륨혈증, 글리코겐 저장병, 지질 대사 이상 등의 유전성 대사 근육질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평상시에는 무증상일 수 있지만, 운동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근육의 에너지 대사에 장애가 발생해 쉽게 근섬유 파괴로 이어집니다. 특히 저인산혈증은 ATP 합성을 방해해 근육 세포가 쉽게 붕괴되게 만듭니다.


감염성 원인

클로스트리디움 감염, 레지오넬라 등의 세균 감염, 인플루엔자, HIV, 코로나19 등의 바이러스 감염, 톡소플라스마, 말라리아 등의 기생충 감염일 때도 횡문근융해증이 보고됩니다. 감염 인자 자체가 근육에 직접 침투해 증식 후 감염세포에서 방출될 때 세포막이 파괴되거나, 고열과 전신 염증 반응으로 인해 근육 대사가 무너지는 것이 횡문근융해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횡문근융해증 치료

횡문근융해증의 핵심적인 치료법은 적절한 수액 공급입니다. 손상된 근육에서 방출된 미오글로빈이 신장 세뇨관을 막고 독성을 일으키지 않도록, 혈액 내에서 충분히 희석해 배설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등장성 식염수(0.9% NaCl)를 대량으로 빠르게 정맥 주입하여 소변량을 유지시키며, 하루 소변 배출량을 시간 당 200mL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이뇨제와 알칼리 요법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만약 소변 배출이 원활하지 않다면 만니톨 같은 삼투성 이뇨제를 사용해 소변량을 늘릴 수 있고, 탄산수소나트륨을 투여해 소변을 알칼리화시켜 미오글로빈이 신장에서 침착되는 것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다만 이는 환자의 상태와 전해질 균형을 고려해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전해질 불균형 교정은 매우 중요한 치료 단계입니다. 고칼륨혈증이 발생하면 심각한 부정맥과 심정지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칼슘 제제(Ca-gluconate), 인슐린과 포도당 병합 요법, 또는 이뇨제를 통해 혈중 칼륨을 빠르게 낮춰야 합니다. 저칼슘혈증은 대개 시간이 지나면서 교정되지만, 증상이 심하거나 부정맥이 동반된 경우에는 칼슘을 보충하기도 합니다.


신장 기능이 심각하게 손상된 경우에는 신대체요법(투석)이 필요합니다. 급성 신부전으로 소변 배설이 거의 되지 않거나, 전해질 불균형과 요독증이 조절되지 않을 때 혈액투석이나 지속적 신대체요법(CRRT) 시행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횡문근융해증은 근육 압력 상승으로 구획증후군이 동반될 수 있으므로, 손상 부위가 심하게 붓고 혈류가 차단되는 경우에는 신속하게 외과적 감압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이를 놓치면 근육 괴사와 영구적 신경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원인 교정 치료가 병행되어야 합니다. 스타틴 같은 약물로 인한 경우 즉시 중단해야 하고, 발작이나 감염이 원인이라면 그에 맞는 항경련제,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격렬한 운동이나 탈수로 생긴 경우에는 충분한 휴식과 수분 보충이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횡문근융해증 예방 방법

첫째, 충분한 수분 섭취가 가장 기본적인 예방법입니다. 횡문근융해증은 탈수 상태에서 쉽게 발생하고, 미오글로빈이 신장에서 침착되면서 신부전을 유발하기 때문에 평소 충분히 물을 마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격렬한 운동 전과 중간, 후 중간중간 특히 더운 환경에서 장시간 활동할 때는 반드시 주기적으로 수분을 보충해야 합니다.


둘째, 무리한 운동을 피하고 점진적으로 운동 강도를 늘리는 것이 필요합니다. 갑작스럽게 과격한 근력 운동이나 장시간 고강도 운동을 하면 근육세포의 ATP가 급격히 고갈되어 손상되기 쉽습니다. 따라서 운동은 체력에 맞춰 서서히 강도를 올려야 하며, 특히 평소 운동량이 적던 사람이 갑자기 고강도 운동을 시작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셋째, 고온다습한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열사병이나 고체온 상태는 근육 대사를 과부하시키고, 세포막 안정성을 무너뜨려 횡문근융해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름철 야외 활동 시에는 시원한 옷차림을 하고, 충분한 휴식과 수분 보충을 하며, 체온이 과도하게 오르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넷째, 약물 및 독성 물질 관리가 필요합니다. 스타틴 계열 고지혈증 약물, 특정 항정신병약물 등과 알코올은 횡문근융해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약품 복용 시에는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라야 하고, 과도한 음주는 피해야 합니다.


다섯째, 질환 관리와 조기 대응이 예방법에 해당합니다. 경련성 질환, 갑상선기능저하증, 전해질 이상 같은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 횡문근융해증 발생 위험율이 더 크므로 꾸준한 관리 및 기저질환을 치료해야 합니다. 또한 원인 불명의 심한 근육통, 콜라색 소변, 전신 무력감 같은 초기 증상이 나타난다면 지체하지 말고 즉시 응급실을 방문해야 합니다.

횡문근융해증 예방 5가지

수분 보충 유지

갑작스럽게 무리한 운동이나 활동 주의하기

고온 환경에 지속적 노출 피하여 열사병 등을 주의하기

약물, 독성물질 주의

기저질환 관리와 의심 시 조기 대응으로 횡문근융해증 전문진료과인 응급의학과, 신장내과 가기




횡문근융해증 예방과 치료 시 회복 돕는 식품

수분과 전해질이 풍부한 물 & 이온음료

가장 중요한 건 물입니다. 충분한 수분 섭취가 신장을 보호하고 미오글로빈 배출을 돕습니다. 치료 중에는 특히 전해질 불균형(저칼슘혈증, 고칼륨혈증 등)이 동반될 수 있으므로 저당 이온음료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흰살 생선류, 살코기

흰살 생선은 단백질이 풍부하면서 지방이 적어 신장 부담이 적습니다. 근육 손상 후 회복을 위해 근육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고, 소화가 쉽기 때문에 회복기 초기에도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대구, 명태, 조기, 가자미 등이 있으며, 하루 단백질 섭취량의 일부를 흰살 생선으로 충당하면 근육 재생에 도움을 줍니다.


계란

계란은 필수 아미노산, 특히 류신이 풍부해 손상된 근육의 단백질 합성을 직접적으로 촉진합니다. 또한 항산화 성분인 루테인, 제아잔틴이 근육 세포 손상을 억제하며, 소화하기 쉬워 회복기 단백질 공급원으로 적합합니다. 삶은 계란, 스크램블, 오믈렛 형태로 섭취할 수 있습니다.


바나나

바나나는 칼륨과 마그네슘이 풍부하여 손상된 근육 세포의 전기적 안정성을 회복시키고 근육 경련을 예방합니다. 횡문근융해증일 때 근육의 칼륨이 혈중으로 유출될 수 있어 전해질 균형 회복이 중요한데, 바나나 섭취가 이를 보충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루 1~2개 정도가 적절합니다.


녹색 잎채소 (시금치, 케일, 청경채)

시금치와 케일 등의 녹황색 채소는 비타민 C, 폴리페놀, 엽산 등이 풍부하여 근육 손상 후 발생하는 활성산소(ROS)를 억제하고, 항산화 효소인 글루타치온 합성을 지원해 세포 내 항산화 방어를 강화합니다. 염증 감소와 근육 회복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살짝 데친 형태로 섭취 시 소화에도 부담이 적습니다.


베리류 (블루베리, 라즈베리, 딸기)

베리류에는 안토시아닌, 폴리페놀이 풍부하여 근육 손상 후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합니다. 항산화 성분이 근육 세포 손상 억제와 미오글로빈 독성 완화에 도움이 되며 저칼로리이면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회복기 간식으로 적합합니다.


견과류 (호두, 아몬드, 캐슈넛)

견과류는 오메가-3 지방산, 아르기닌, 마그네슘이 풍부하여 근육 재생과 혈류 개선을 돕습니다. 아르기닌은 혈관 확장을 촉진해 근육 세포로 영양 공급을 원활하게 하고, 마그네슘은 근육 수축과 이완 균형을 유지합니다. 하루 한 줌(약 20~30g) 정도가 적절하며, 간식이나 샐러드 토핑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고구마

고구마는 복합 탄수화물로 근육 글리코겐 회복을 돕고 베타카로틴과 비타민 C가 근육 산화 스트레스를 완화합니다. 혈당 급상승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므로 삶거나 쪄서 섭취 시 소화 부담이 적어 회복기 식사에 적합합니다.


마무리

횡문근융해증은 갑작스러운 근육손상으로 신장 손상과 급성 신부전을 비롯한 여러 합병증이 생길 수 있는 질환입니다. 때문에 평소 갑작스럽게 강한 압력을 주는 활동이나 외상 등을 주의하고, 약물 남용, 고온 환경에 지속적 노출 등을 삼가하며 수분 보충과 단백질, 전해질 보충을 적절히 하여 횡문근을 보호하여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