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암 백신 예방접종 효과? 9가 나이 비용 횟수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백신 효과? 2가부터 9가까지 총정리

자궁경부암과 HPV 감염 초기 단계부터 암 발생까지

자궁경부는 질과 연결되는 자궁 입구로, 여러 자극이 잦아 점막을 보호하는 상피세포가 여러 층으로 덮고 있습니다. 이 다층상피세포들은 가장 윗층인 각질층부터 편평상피층, 가장 아래 기저층 등으로 층위를 이루고 있는데요.

기저층에는 줄기세포와 증식 능력이 있는 상피세포가 있어 세포 분화하여 윗층으로 올려줌으로써 편평 상피, 각질층 등의 재생과 손상 회복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지만 동시에 자궁경부암을 유발하는 인유두종바이러스HPV의 주요 표적이 되기도 합니다.


바이러스는 세포 내에서 생존하기 위해 면역 감시가 상대적으로 약한 부위를 찾아내 증식해 왔는데요. 기저층은 혈관 분포가 없어 혈류를 통해 이동하는 면역세포 활동이 제한적입니다.

때문에 HPV은 면역 감시가 있는 일반적인 상피세포에는 접근을 못하고 미세 손상이 있는 틈을 통과해 아래쪽 기저층까지 도달하여 상피세포막에 융화되어 침입합니다.

이어 HPV는 숙주 세포의 핵 안에서 DNA를 밀어넣어 보관하면서 은밀하게 증식해도, 기저층은 혈관이 없어 초기 감염 시 면역세포 접근이 제한되어 면역반응없는 무증상 상태로 오래도록 면역계 회피를 유지할 수 있는데요.


특히 고위험 HPV가 발현하는 E6 단백질은 숙주세포 핵 내 종양억제 단백질인 p53을 분해하고, E7 단백질은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 Rb를 억제하여 감염된 숙주 상피세포가 통제 없이 분열하게 만들고 DNA 손상을 축적하게 합니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상피세포는 무제한 증식하면서 점차 전암성 병변으로 진행하다 장기적인 유전자 손상과 세포 변형이 축적되면서 자궁경부암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다만 HPV 감염 자체가 곧 암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만성적인 감염과 고위험형 바이러스, 숙주의 면역 반응 상태가 결합될 때 암으로 이어지는 경로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즉, HPV는 면역 반응의 사각지대에 숨어 조용한 감염(persistent latent infection)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자궁경부에 분포한 세포의 유전자 변이를 유발하여 암으로 이어지는 고리를 잇는데요.

이를 막는 것이 자궁경부암 백신입니다.



자궁경부암 백신 효과?

HPV 백신은 자궁경부암 예방을 목적으로 개발된 재조합 단백질 백신으로, 바이러스의 외피 단백질인 L1 단백질을 이용해 인위적으로 만든 바이러스 유사체(VLP, Virus-Like Particle)를 포함합니다.

VLP는 실제 바이러스와 구조적으로 유사하지만, 바이러스 DNA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감염이나 증식, 세포 변형 능력은 전혀 없는데요.

백신을 접종하면 체내 면역계는 VLP를 외부 침입자로 인식하여 공격할 수 있는 중화항체(Neutralizing Antibody)를 생성합니다.

형성된 항체는 HPV가 체내에 침입하여 상피세포에 접근할 때 HPV 외피의 L1 단백질에 결합하여, 바이러스가 상피세포 표면의 헤파란 황산 프로테오글리칸(heparan sulfate proteoglycan)이라는 결합 부위에 부착하는 것을 막음으로써 세포막에 흡수되는 내포작용(endocytosis) 단계를 차단합니다.


HPV 백신은 어릴수록 접종 효과가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이유는 감염 여부와 면역 반응 두 가지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첫째, 성관계를 시작하기 전 어린 나이는 대부분 HPV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백신이 목표로 하는 고위험형 HPV에 대한 면역을 미리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미 감염된 세포가 있다면 백신 접종 후 항체가 만들어져도 감염된 숙주 세포 내 바이러스는 제거할 수 없으므로 예방 효과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둘째, 어린 나이일수록 면역계가 더 활발하고 반응성이 높아, 백신에 포함된 바이러스 유사체(VLP)에 대한 항체 생성과 면역 기억 형성이 강력하게 일어납니다. 실제 연구에서도 9~14세 사이 접종 시 2회 접종만으로도 충분한 면역 반응이 형성되는 반면, 15세 이상에서는 3회 접종이 필요할 정도로 항체 형성이 다소 낮은 것으로 확인됩니다.




HPV 유형 분류

인유두종바이러스HPV는 약 8,000bp 정도의 원형 이중가닥 DNA 바이러스입니다. HPV는 L1 유전자 서열 차이를 기준으로 구분되는데 DNA 서열이 10% 이상 차이가 나면 별도의 아형(Type)으로 분류됩니다.

이를 기준으로 질병 유발 위험도에 따라 고위험형(High-risk)과 저위험형(Low-risk)으로 나눕니다.


고위험형: 주로 자궁경부암, 외음부암, 항문암 등을 유발합니다.

대표적으로 16형, 18형, 31형, 33형, 45형, 52형, 58형 등이 있으며 16형과 18형에 의한 자궁경부암은 전체 중 약 70% 이상을 차지합니다.


저위험형: 주로 생식기 사마귀(콘딜로마)와 양성 병변을 유발하며 대표적으로 6형, 11형 등이 있습니다.



자궁경부암 백신 종류?

2가 백신

2가 백신은 HPV 16형과 18형을 표적으로 하며 주로 자궁경부암 예방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고위험형 HPV인 16형과 18형은 전체 자궁경부암의 약 70% 이상을 유발하므로, 이 백신은 암 발생의 핵심 경로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4가 백신

4가 백신은 HPV 6형, 11형, 16형, 18형을 포함하며, 자궁경부암뿐만 아니라 생식기 사마귀 예방에도 효과적입니다.

6형과 11형은 저위험형 HPV로, 대부분 암을 유발하지는 않지만 사마귀를 형성하기 때문에 백신을 통해 이 질환까지 예방할 수 있습니다.


9가 백신

9가 백신은 2가와 4가 백신이 포함한 유형 외에도 31형, 33형, 45형, 52형, 58형까지 포함하여 더 많은 고위험형 HPV를 예방합니다. 때문에 전체 자궁경부암 발생의 약 90% 이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암뿐 아니라 일부 HPV 관련 외음부, 질과 항문 병변 예방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접종 연령 - 횟수 - 가격 (국내 기준)

구분 / 대상 / 연령 / 권장 접종 횟수 / 접종 간격 1회 접종 비용(원) / 총 비용(원) / 국가 지원 여부

▶2가 백신 (서바릭스, Cervarix)

기본 / 만 9~14세 / 2회 / 0개월, 6개월 / 13만~15만 / 26만~30만 / 무료 (만 12세 대상)

고연령 만 15세 이상 / 3회 / 0개월, 1개월, 6개월 / 13만~15만 / 39만~45만 / 미지원


▶4가 백신 (가다실, Gardasil)

기본 / 만 9~14세 / 2회 / 0개월, 6개월 / 15만~18만 / 30만~36만 / 무료 (만 12세 대상)

고연령 / 만 15세 이상 / 3회 / 0개월, 2개월, 6개월 / 15만~18만 / 45만~54만 / 미지원


▶9가 백신 (가다실9, Gardasil9)

기본 / 만 9~14세 / 2회 / 0개월, 6개월 / 20만~23만 / 40만~46만 / 미지원

고연령 / 만 15세 이상 / 3회 / 0개월, 2개월, 6개월 / 20만~23만 / 60만~70만 / 미지원


질병관리청 예방접종도우미에서 HPV 국가예방접종사업 지정의료기관을 찾을 수 있습니다.